본문 바로가기
건강,웰빙

"추석 연휴 기간, 창원시에서 응급상황 발생? 24시간 진료 가능한 곳은 어디?"

by 눈속와송 2025. 9. 26.
반응형

24시간 진료 가능한 곳은 어디?"

안녕하세요? 민족 대명절 추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즐거운 시간이지만, 연휴 기간 갑작스럽게 아프거나 다치면 당황하기 마련인데요. 특히 병원과 약국 대부분이 문을 닫아 막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추석 연휴 기간, 창원시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이용 가능한 24시간 진료 병원과 약국 정보를 공유 하려고 합니다.

1. 2025년 창원시 추석 연휴, 비상진료체계 가동!

  • 창원시는 추석 연휴 동안 시민들의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24시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합니다.
  • 연휴 기간 내내 보건소에 상황실을 운영하여 응급의료기관 및 당번 약국 운영 상황을 관리하고 안내합니다.

▶ 창원시 주요 응급의료기관 상세 정보

추석 연휴 기간을 포함하여 24시간 언제나 신속한 진료가 가능한 창원시 내 주요 응급의료기관 상세 정보입니다. 응급상황 발생 시 참고하시어 가까운 곳으로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기관명 구분 주소 대표전화 (응급실) 비고
삼성창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창원시 마산회원구 팔용로 158 055-233-6119 경남 유일의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 응급환자 집중 치료
창원파티마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창원시 의창구 창이대로 45 055-270-1119 심뇌혈관질환 등 중증 응급질환 진료
창원한마음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창원시 의창구 용동로57번길 8 055-225-0350 24시간 응급의학 전문의 상주, 신속한 진단 및 치료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로 11 055-214-1339 교육, 연구, 진료를 겸비한 국립대병원 응급의료센터
근로복지공단 창원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721 055-280-7700 산업재해 환자 및 지역 주민 응급진료
경상남도 마산의료원 지역응급의료기관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231 055-249-1119 지역 거점 공공병원, 감염병 및 응급환자 진료
SMG연세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 664 055-263-0119 관절, 척추 등 정형외과 응급진료 특화
제일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178 055-245-5000 종합적인 응급질환 진료
진해세광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창원시 진해구 중원로 42 055-540-3000 진해 지역 응급의료 담당

[용어 설명]

  •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 응급환자 중심의 최종 치료를 담당하는 최상위 응급의료기관입니다. 24시간 전문의가 상주하며 응급수술, 중환자실 치료 등이 즉시 가능해야 합니다.
  • 지역응급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의 하위 단계로, 중증 응급환자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담당합니다.
  • 지역응급의료기관: 일반 응급환자의 진료를 담당하며,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합니다.

※ 방문 전 반드시 해당 병원 응급실에 전화하여 진료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빠릅니다.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 문의하시면 실시간으로 운영 중인 응급실 정보를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2. 내 주변 24시간 진료 병원, 가장 빠르게 찾는 방법

  • 응급의료포털 E-Gen 활용: PC나 스마트폰으로 '응급의료포털 E-Gen'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실시간으로 운영 중인 병원과 약국 정보를 지도와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응급의료정보제공' 앱: 스마트폰에 해당 앱을 설치하면 내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응급실, 병원, 약국 정보를 바로 찾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인터넷 사용이 어렵거나 위급한 경우, 즉시 119에 전화하여 증상을 설명하고 진료 가능한 병원 안내 및 구급차 출동 등 필요한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명절에 문 여는 약국, 어디서 확인하나요?

  • 연휴 기간에는 일반 약국 대부분이 문을 닫지만, 지역별로 당번 약국을 지정하여 운영합니다.
  • '휴일지킴이약국'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간단하게 우리 동네 당번 약국 운영 시간과 위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소화제, 해열제 등 기본적인 상비약은 미리 구비해두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소화제, 해열제 등 기본적인 상비약은 미리 구비해두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4. 가벼운 증상 vs 응급상황, 어떻게 대처할까?

  • 명절 음식으로 인한 단순 소화불량이나 가벼운 찰과상은 미리 준비한 상비약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갑작스러운 고열, 호흡 곤란, 심한 복통,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119에 신고하거나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 특히 영유아나 고령의 어르신은 상태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혹시 모를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지금 참여 해보십시요!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을 미리 설치해두는 것은 어떨까요?

마무리글

오늘은 2025년 창원시 추석 연휴 기간에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과 24시간 진료 가능한 병원 및 약국 찾는 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비상진료기관 정보를 미리 숙지하여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처하고, 가족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한가위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추석 연휴에 모든 응급실이 24시간 운영되나요?

A: 네, 창원경상국립대병원, 삼성창원병원과 같은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곳들은 연휴와 관계없이 24시간 정상 운영됩니다. 하지만 일부 병원의 경우 진료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코로나19나 독감 같은 감염병이 의심될 때도 응급실 방문이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고열, 호흡기 증상 등이 심할 경우 응급실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

 

Q3: 아이가 밤에 갑자기 아플 때,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있는 응급실은 어디인가요?

A: '응급의료포털 E-Gen'이나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에서 '소아야간진료' 또는 '달빛어린이병원' 정보를 검색하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병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위급 시에는 119에 문의하여 안내받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건강한 한가위 보내세요.


 

반응형